Showing posts with label 신재생 에너지.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신재생 에너지. Show all posts

Saturday, August 18, 2012

저 찬란한 햇빛, 아 아까워 [2012.08.13 제923호] - 원문 링크 있음


저 찬란한 햇빛, 아 아까워 [2012.08.13 제923호]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32684.html

저 찬란한 햇빛, 아 아까워 [2012.08.13 제923호]
[표지이야기] 자연에 부담되지 않는 기술 찾아나선 사람들… 양철판에 햇빛 모으는 이재열씨, 효율 뛰어난 화덕 찾아내 보급하는 김성원씨
▣ 박현정
  



햇빛만으로 한겨울을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온풍기, 마시다 남은 맥주로 만드는 천연 페인트, 쌀자루에 흙을 담아 만든 집, 태양열로 요리할 수 있는 오븐….
친환경 제품 전시장에서나 볼 수 있을 듯한 난방·조리·농사 기구 등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이가 늘고 있다. 주로 귀농을 선택해 자원을 고갈시키고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인간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이들이다. 자연에 부담이 되지 않으면서도 효율성이 높은 난방 기구를 찾거나 저렴하게 집을 지을 수 있는 생태 건축을 고민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적정기술을 접하게 된다.
» 2008년 경부 봉화로 귀농한 이재열씨가 직접 지은 흙집 전경. 태양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각종 도구들이 들어서 있다. 시골나무 제공
땔감용 나무 제외하고는 에너지 자급자족
서울에서 15년 넘게 공무원 생활을 하다 2008년 경북 봉화로 귀농한 이재열(45)씨가 직접 지은 흙집엔 가스나 석유 대신 자연에 기대어 살려고 마련한 도구로 가득하다. 도시에서 살 땐 그저 가스나 석윳값이 더 저렴해지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환경문제에 관심이 생기자 그의 눈에 들어온 것이 바로 ‘햇빛’이었다. 그는 햇빛온풍기·햇빛온수기·햇빛건조기 등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여름철 양철판에 앉았다가 뜨거움에 놀라 엉덩이를 떼어낸 적이 한 번쯤 있을 것이다. 햇빛온풍기엔 이런 원리가 숨어 있다. 태양의 가시광선이 흑색 양철판에 닿아 적외선, 즉 열에너지로 변환된다. 양철판 위에 적외선을 붙잡아두는 성질이 있는 유리나 투명 비닐을 덮으면, 그 안에 갇힌 공기는 점점 뜨거워진다. 이런 공기가 집 안으로 이동하면 실내가 따뜻해지는 것이다. 이씨는 80만원을 들여 제작한 가로 1m·세로 5m 크기의 햇빛온풍기를 집에다 설치했다. 그 뒤 땔감 사용량이 40% 이상 줄어들었다. 이씨네는 이렇게 일정 부분 나무를 활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에너지를 자급자족하고 있다.
이씨는 처음 농촌 생활을 결심했을 땐 난방 걱정이 별로 없었다고 했다. 대안 에너지에 관심이 있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주위에 널린 나무를 활용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땔감을 마련하는 건 엄청나게 수고로운 일이었다. 농사짓기에 바쁜 동네 어르신들도 기력이 딸려 땔감을 마련하기 힘들어한다. 주로 전기장판으로 겨울을 나는데, 이마저도 전기료 아끼느라 마음껏 사용하지 못한다. 도시가스 보급이 되지 않는 시골에서는 같은 양의 에너지를 쓴다 하더라도 비용이 훨씬 많이 든다. “큰딸이 할머니와 같이 사는 친구네에 놀러갔는데 한겨울인데도 실내 온도가 2℃ 정도였어요. 농촌에 계신 어르신들이 대개 춥게 지내시죠. 햇빛온풍기를 활용하면 좀더 따뜻하게 겨울을 보내실 수 있어요.” 그는 3년 전부터 햇빛온풍기 제작 교육 등 기술 보급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사기’가 아닐까 의심하던 이웃들도 햇빛을 활용한 기구가 가득 찬 그의 집을 들여다보며 하나둘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씨의 흙집이나 햇빛온풍기의 겉모양새는 투박하다. 구름이 끼거나 눈이 올 때 온수를 사용하려면 아껴 써야 한다. 그는 조금의 불편함을 감수할 정도로 자연에 기대어 사는 삶이 행복하다고 말했다. 적정기술에 대한 교육을 하는 공동체 건축가 조윤석씨는 번역투인 적정기술을 ‘적당기술’이라고 부른다. 뭐든 정확하고 정밀함을 강조하는 근대사회에서 ‘적당주의’는 부정적인 개념으로 자리잡았지만, 이제는 회복해야 할 가치라는 것이다. “집 짓는 데 그렇게 첨단 기술이 들어가는 게 아니에요. 남향으로 바람길 잘 통하게만 대충 지어도 살 만하다니까요.”
회복해야 할 가치 ‘적당주의’ 그리고 ‘적당기술’

» 지난해 충북 음성 농촌선교교육원에서 열린 제1회 적정기술보급원 워크숍에서 김성원씨는 다른 참가자들과 함께 액화석유가스(LPG)통 2개를 활용해 열효율이 높은 2단 깡통 난로를 만들었다. 소나무 제공
2007년 전남 장흥으로 귀농한 김성원(45)씨는 ‘화덕’ 전도사다. 화덕은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에게 잊혀진, 그러나 현존하는 물건이었다. 일제시대 중반까지도 나무화덕은 한반도에서 가장 보편적인 취사도구였다. 1920년대 연탄이 수입되기 시작하자 나무화덕이나 부뚜막 아궁이가 빠르게 사라졌다. 1970년대에 등장한 가스레인지는 1990년대 초반 보급률이 100%에 육박했다. 김씨는 귀농을 하면 자급자족의 삶을 살고 싶었다. 농사로 많은 수익을 얻기 힘들기 때문에 뭐든 제 손으로 하는 게 필요했다. 쌀자루에 흙을 담아 벽을 쌓아 집을 짓고, 집에 필요한 가구를 제 손으로 만들었다. 시골에서는 불 피울 일이 잦았다. 동네 사람들이 사용하는 드럼통으로 만든 화덕이나 옛날식 화덕은 나무 사용량이 너무 많았다. 전세계 화덕을 살펴보며 효율이 뛰어난 화덕을 찾기 시작했다. 이런 화덕을 적정기술로 재해석하고 개량해나갔다. 이동형 간이화덕을 만들어 가까운 이웃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적정기술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 누구나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기술이 쉽고 비용도 저렴해야 한다. 노동에서 소외당하거나 소비만 하는 존재가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노동을 통해 창조력을 발휘하는 삶으로 돌아가자는 의미가 있다. 지역 공동체와의 어울림이 중요하다. 이런 면에서 건축가 조윤석씨는 고민이 많다고 했다. 저렴하고 짓기 쉬운 친환경 주택이 지역 공동체에 꼭 도움이 되는 건 아니다. 농촌에 집을 많이 지으면 그만큼 땅값이 오르기 때문이다. 아무리 생태적으로 의미 있다 하더라도 공동체에 기여하지 못한다면 상품일 뿐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국내 적정기술은 주로 제3세계 원조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지만,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화석에너지나 치명적 위험을 내포한 핵에너지에 기대고 있는 우리 사회를 지속 가능한 삶의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이재열씨는 햇빛온풍기를 만들면서부터 우리가 햇빛을 낭비하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급해진다고 했다. “각자 집을 비추는 태양 면적 중 일부만 이용해도 난방·온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거든요. 태양전지판은 업체에서 공급받는 게 낫지만, 나머지는 큰 기술 없이 우리 손으로 만들 수 있어요.”
적정기술 지역 거점이 생긴다
현재 적정기술 보급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존재감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다. 적정기술에 관심 있는 개인이나 민간단체는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도구 제작법 등을 공유하고, 간헐적으로 교육 워크숍을 열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는 적정기술을 보급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김성원씨는 이재열씨 등 자신과 비슷한 가치관을 지닌 이들과 함께 지역마다 적정기술 거점 마련을 추진 중이다. 적정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 등을 세우고, 해당 지역 주민들이 적정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파리의 눈의 원리를 이용한 태양 전지판 - 원본 링크 있음

음 10% 증가한다는데...


http://blog.naver.com/pupoij?Redirect=Log&logNo=40015185036



파리의 눈의 원리를 이용한 태양 전지판

[출처 : http://www.newscientist.com/ns/19990417/news.html : 1999년 04월 17일]
연구자들은 4천 5백만 년 전에 살았던 파리 눈의 모양이 태양 전지 패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파리 눈의 표면에서 발견되는 굴곡 패턴은 반사를 줄일 수 있어서 많이 기울어진 각도로 들어오는 빛까지도 잡아둘 수 있다. 이것은 시드니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박물관의 동물학자 Andrew Parker의 생각이다. 그는 폴랜드의 Warsaw에 있는 지구 박물관(Museum of the Earth)을 방문하던 중 에오세에 만들어진 호박 속에 보존된 파리에 대한 몇 장의 전자현미경 사진에 주목했다. 그는 파리의 겹눈(compound eye)을 구성하고 있는 오마티디아(ommatidia)의 표면에서 145나노미터의 높이를 갖고 240나노미터 만큼 떨어져 있는 일련의 평행한 줄기로 구성된 격자를 주목했다.
Parker는 파리의 눈이 수직 방향에서 72도에 이르는 각도로 도달하는 빛까지 잡아 낼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이러한 줄기들 사이의 거리는 대략 빛의 파장을 반으로 나눈 값이었다. 이러한 구조는 반사되는 빛의 양을 엄청나게 줄일 수 있다. Parker는 이러한 줄기들 덕분에 파리들이 밤에도 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포토닉스 전문가 Roy Sambles가 이끌고 있는 Exeter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감광 필름에 이와 같은 패턴을 새겨 넣는 방법으로 Parker의 예측을 확인했다. 그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파장이 다른 레이저 빔을 물질에 쪼여준 뒤에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했다. Parker는 "이것은 모든 각도 범위에 대해서 매우 훌륭하게 반사를 억제하는 구조물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말한다.
시드니의 University of Technology에 있는 재료 과학자 Geoff Smith와 그의 동료들은 이러한 결과를 이용해서 파리눈 패턴이 평범한 날 태양 전지 패널이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를 10%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Smith는 "이러한 패턴을 사용하면 태양이 거의 지평선에 다다랐을 때도 태양전지가 대낮에 생산하는 에너지와 거의 비슷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것은 태양이 하늘을 가로질러 움직임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을 태양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추적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는 비용과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앞으로 몇 달 이내에 시드니의 New South Wales 대학교에 있는 광발전 연구 그룹의 Patrick Campbell은 태양전지 패널 유리에 멸종된 파리눈의 패턴을 새겨 넣을 것이다.
독일의 Freiburg에 있는 프라운호퍼 태양에너지 연구소(Fraunhofer Institute for Solar Energy)의 과학자들은 이와는 별개로 비슷한 패턴이 새겨진 필름을 가지고 연구해 왔다. 그들은 이러한 필름은 3% 정도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었다고 보고했다. - (chahn)

[2009.09.17] 머리카락 전도체 태양 전지판 디자인소식 - 원본 링크 있음

[2009.09.17] 머리카락 전도체 태양 전지판 디자인소식
2009/09/17 10:21

네팔의 18 과학도밀란 카르키(Milan Karki) 새로운 형식의 태양 전지판을 개발했다바로 실리콘 대신 머리카락을 전도체로 사용하는 태양 전지판머리카락을 전도체로 사용할 경우기존에 비해 가격이 훨씬 저렴해질  아니라친환경 대체 에너지 보급률을 보다 높일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밀란 카르키의 태양 전지판은 머리카락의 멜라닌 색소가 빛에 반응하는 원리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가정 보급용 머리카락 태양 전지판은  9볼트 전력을 만드는데휴대폰을 충전하거나 저녁  전기를   있는 양이다현재 생산 가격은 23파운드지만대량 생산하게 되면  가격 아래로 낮출  있다이는 현재 생산되는 실리콘 태양 전지판의 1/4 가격에 해당한다.



밀란은 네팔의 시골 마을 출신으로, 현재 네팔 수도 카트만두(Karthmandu)에서 수학하고 있다. 데일리 메일(Daily Mail)과의 인터뷰에서,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마을에서 자란 터라, “전기가 부족한 자신의 집과 마을에 전기를 제공하고 싶었다 순수한 의도를 밝혔다. 어린 나이에 일을 시작하는 사회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교육을 받을 있었던 것에 감사한다는 그는 전기로 은혜에 보답한 셈이다



머리카락 아이디어는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박사의 이론에서 얻었다고네팔에서 머리카락은 일반 전지보다 훨씬 저렴하고, 전도체로 개월간 사용할 있다. 교체가 간편해 주민 스스로 관리가 가능하다. 머리카락이 지구를 밝히고, 살리는 어느 정도 기여할 지켜볼 일이다.


designdb.com

Friday, August 17, 2012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한다는. - 원문 링크 있음.

http://www.etnews.com/news/device/device/2632180_1479.html

지난 3월 중국에서 깜짝 놀랄 만한 뉴스가 전해졌다. 중국이 오는 2030년께 우주에 태양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내용이었다. 중국과학원에 따르면 2030∼2050년 첫 상업용 우주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개발해 운영할 수 있다고 했다. 우주발전(宇宙發電) 시스템. 우주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사용하는 공상과학영화에나 나올 법한 이 대형 프로젝트는 관심을 집중시켰다. 

◇우주에서 전기를 만든다=우주 태양광 발전은 말 그대로 우주에서 전기를 만드는 것이다. 우주에 발사한 위성에 커다란 태양광 패널을 달아 만든다. 지상에서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식이다. 그런데 조금 다른 게 있다. 우주에서 만든 에너지를 지상으로 보내는 것이다. 전력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한다. 

어떻게 가능할까. 중국이 구상하는 우주 태양광 발전소는 지표면 3만6000㎞ 상공에 거대 태양전지판을 설치한다. 이렇게 모은 에너지를 초단파를 이용해 지구로 보내고 지구에서는 이 초단파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개념이다. 지상 발전과 마찬가지로 변전 및 송전 시설을 거쳐 전기를 필요한 곳에 전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우주 태양광 발전소는 태양에너지 강도가 지표면의 5~12배로 높고 하루 24시간 중 99% 시간대에 발전할 수 있으며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획됐다. 

중국과학원은 “중국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우주 태양광 발전소”라며 “우주 발전소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우주공학은 물론이고 재료공학과 전자기술 등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학원은 나아가 실용화 단계에 이르면 휴대폰은 물론이고 전기자동차나 각종 전자기기 등을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충전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가는 일본=우주발전은 허황된 이야기일까. 그렇지 않아 보인다. 미래 에너지원의 하나로 미국에서도 우주발전이 제기됐다. 1968년 사이언스지에 우주발전 논문이 발표된 후 곧바로 197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추진됐다. 

하지만 기술적·경제적으로 요원하다는 판단으로 프로젝트는 중단됐고 그 바통을 일본이 이어받았다. 일본은 1980년대 후반부터 우주에서 전기를 만드는 데 관심을 쏟았다. 그 결과 가장 기술이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영진 한국전기연구원 박사는 “지난해 일본 무선전력전송 학회에서 일본항공우주국(JAXA) 지원을 받아 교토 대학이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고출력 전송 기술을 시연했다”며 “일본이 굉장히 빠르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일본은 장거리 무선전력 송신을 테스트하고자 3~4년 전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내 전파관리를 담당하는 전파통신 부문(ITU-R)에 2.45㎓ 대역 사용을 신청하기도 했다. 여러 이유로 실험이 무산되긴 했지만 우주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본의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일본 정부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이 추진하는 우주 태양광 발전 시설은 패널 넓이가 축구장 330배 정도인 2.5㎢ 크기에 1000만㎾ 발전용량을 갖출 계획이다. 

이는 원자력발전소 1기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일본에서는 우주발전에 더욱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실현 가능성은=기술적 과제로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보내는 전송 문제가 꼽힌다. 현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전력 전송 기술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안정성과 효율 문제가 걸림돌이다. 마이크로파는 물분자를 통과할 때 열이 발생하게 된다. 위성에서 에너지를 지상으로 보내는 과정에 성층권을 통과할 때 어떤 문제가 생길지 모른다. 항공기나 생명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전 효율도 마찬가지다. 박영진 박사는 “태양광에서 만든 전기가 100이라 할 때 1만 받아도 현재로선 성공적인 수준”이라며 “효율이 3~4%만 돼도 만족스러운 수치”라고 전했다. 

가장 큰 걸림돌은 채산성이다. 우주에서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문제는 돈이 너무 많이 든다. 같은 발전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우주발전은 원자력보다 비용이 여섯 배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우주발전 관심은 끊이지 않는다. 국제우주학회(IAA)는 지난해 11월 `우주 태양광 발전소`가 30년 안에 경제성을 갖춘 에너지 공급원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IAA는 연구보고서에서 “현재 실험실 아이디어 수준에 불과한 궤도 발전소는 10∼20년 안에 기술적으로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가능성이 열려 있는 우주발전. 이 원대한 프로젝트가 이뤄질 날은 우리의 예상보다 앞당겨질지 모른다.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

Tuesday, August 14, 2012

SP Korea Saver 역률 개선기 과장 광고 - 퍼옴 원본 링크 있음.

★ sp korea saver 전기절감기 사용후기(허위 과대과장 광고 주의 경계!!!)
http://blog.naver.com/nantanews?Redirect=Log&logNo=110134975353
http://blog.naver.com/newsnanta?Redirect=Log&logNo=20154229792


역률 개선기.전기 절감기 등 허위 과대 과장 광고에 주의하세요.  ◆ ☞ 소비자고발 
2012/03/28 11:14



역률개선기.전기절감기.화장품.건강식품.기타 먹거리 등으로 허위 과대 과장 광고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들이 우리 사회에는 너무나 많습니다.

소비자가 직접 검증이 되는 제품도 있을 것 이고 검증이 안 되는 제품도 있을겁니다.
검증이 잘 안되는 제품일수록 판매업자들은 갖은 방법을 동원해
소비자를 기만하고 우롱하는 것 입니다.

이제는 소비자가 적극 나서서 더 이상의 다른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정보를 입수하여 대책마련을 해야 할 것입니다.

소비자고발은 다수의 국민과 소비자를 위해서 앞으로 다양한 제품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제공 할 것이며
대처 방법에 같이 동참 할 것을 다짐합니다.


★부도덕한 악덕 판매업자 구별법.


1. 홈페이지를 보면 사실이 아닌 내용을 진실인 것 처럼 그럴듯하게 과대과장 해 놓는다는 것.

2.인터넷 상에서 블로그등에 후기가 도배를 하고 있으며 찬양 일색일때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는 점.

3.주로 핸드폰이나 070-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

4.사업자 주소지와 발신주소가 불명확 하다는 점.

5.휘황찬란한 광고에 걸맞지 않게 114안내에 물어도 출처가 안나온다는 점.(114안내 등록 취소)

6.제품에 일련번호나 승인번호가 없다는 점.(만약 있다면 지식경제부 기술원에 확인요.)

7.허위제품에 비해 박스포장에만 잔뜩 신경을 쓴다는 점,

8.소비자에게 필요 이상의 꼬투리를 잡아환불이나 반품이 안되거나 60일 이상 써보라고 권유한다는 점.

9.대리점등을 모집 하면서 대리점 역시 핸드폰 하나만 가지고 운영이 된다는 점.

10.조작된 동영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돈만 주면 아무나 주는 인증서 등을 내세우는 점.



주변에는 무수하게 많은 근거없는 허위 과대광고로 소비자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사람들을 상대로 사기를 치는 악덕상인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소비자들의 적극 참여와 관심만이 맑고 투명한 사회를 만들겠지요.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소비자 고발은 계속 이루어질 것입니다...소비자 고발.

이런 제품을 팔다니 >.< 

 허위 과대과장 광고 주의~!
 


처음부터 설명서가 없었다.
설명서가 없으면 사내규정상 반품이나 환불이 무조건 전혀 안된다고 한다.
그래서 환불을 포기하고 다시 물건을 반환 받았으나 역시 설명서가 없다.
(판매업자 허위 과대 과장광고 말대로라면 설명서도 필요없는 제품이다.)
  
 

제품 안에도 설명서 한장 없었다.(박스포장은 그럴 듯 하다.)



◆판매회사~sp korea saver (http://sp-saver.com)
◆제품명~sp-001(단상)



★ 에스피코리아세이버 허위 제품 검증 실험


★ 전력공식~ P(전력)=E(전압) x I (전류)

                  전압이 고정인 상태에서 전류가 감소하면 소비전력이 감소가 되며
               
                   여기서는 가정용 상용전원 220V를

                  사용하여 측정되였습니다.





 
1.실험을 하기위한 준비물.


2.콘센트를 전원(220V)에 연결하고 부하에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류를 측정한 결과
0.000(A)=0(W) 인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슴.



3.콘센트에 가정용 36W2등용 형광등만 연결후 전류를 측정하니
0.263(A)=57.9(W) 라는 전류가 흐름을 확인.














4."3번" 실험상태에서 문제의 기기를 콘센트에 연결하니 0.660(A)=145(W) 라는 전류가 흐르며
오히려 전력의 증가가 2배 이상이 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슴.


   
5. 이번에는 가정집에서 주로 사용되는 60(W) 백열전구 만 연결하여 전류를 측정하니
0.269(A)=59(W) 라는 전류흐름을 확인



  
6. "5번"실험상태 에서 추가로 문제의 기기를 같이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류를 측정한 결과
0.637(A)=140(W) 라는 전류가 흘렀었고 전력은 이 또한 2배이상 증가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슴.




7. 마지막으로 부하에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의 제품 SP KOREA SAVER (SP-001) 만

   연결하여 전류를 측정해보니 0.538(A)=118(W) 의 쓸데없는 소비전력이 발생하였습니다.

   결국 문제제품만 콘센트에 꼽아만 놔도 20(W) 형광등 6개를 켜 놓은 상태이며

   가정용 계량기는 무효전력에 상관없이 유효전력만 적용되게 되어 있으므로 역률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겁니다.

   절대 사용해서는 안되는 제품이라는것이 검증되는 순간이다.





★ 사용후기와  결론
상기 허위과장광고 된 제품은 전혀 효용성이 없었으며 오히려 문제제품을 사용하므로서
필요없는 전력손실만 가중되고 있다는것을 알 수가 있었다. 
 
결과가 이럼에도 불구하고 해당제품의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면  
 


허위 과장광고로 도배를 해놓다시피 하였고 
 
아무것도 모르는 다수의 소비자는 앉아서 피해를 당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울뿐이다.
 
  
2월28일 이데일리 TV방송을 보고 구매를 했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그것이 판매업자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라기보다 돈을 받고 광고를 해주는 프로 였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전국에 전국민에게 방영되는 방송이 최소한의 기술적 문제는 고사하더라도 윤리적 문제는 검토를 하고 방송을 해야 되건만
상업적 수익에만 눈이 어두워 아무나 쉽게 불량물품이든 사기물품이든 방송을 했다는게 너무나 어이가 없었습니다.
그들 판매업자의 허위 과대과장 광고를 케이블 방송이 도와주면서 업자들의 검은 수익에 배만 불려주는 꼴이 되여버린 것입니다.
물론 해당 tv의 동영상속의 내용중 대부분이 허위과장으로 내용이 일관되여 있습니다.
이 문제는 방송통신심의 위원회에 따져 보아야 할 사안인 것 같습니다.
이런 방송제작물 매개체를 십분 활용하여  대단한 것인 양 소비자를 현혹시키고
방송제작물 동영상을 홈페이지 등에 올려 공정성이 있는 것 처럼 하는 업자들이 여기저기 많다는것은
사회적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제품가 137500원만 허공에 날렸습니다.(환불은 사내규정상 보내지도 않은 설명서가 없다고
안된다고 하네요.)
137500원으로  다수의 소비자가 더 이상 피해를 안입도록 하는데 썼다고 생각하겠습니다.


요즘 세상에 아직도 이런 제품이 판을 치고 있으니 ~~~다른 사람들의 피해가 없었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올립니다.
 
 
고유가시대를 맞아 어려운 국민경제를 역이용하여 그 틈새를 노리고 소비자를 기만하는 전기절감기라는 제품이 인터넷이나 가가호호 방문하여 극성을 부리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국민들이 가전제품을 누구나 사용 하고 있지만 실상 전기전공을 한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전기에 대한 상식이나 지식이 전무하므로 전기료가 절감된다는 과대광고 유혹에 쉽게 넘어가는 경우가 비일비재 한 것 같습니다.또한 일반인들은 검증할 방법도 모르기에 업체의 강요와 과장된 광고에 속수무책으로 더욱 피해를 보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네이버 검색창에 "전기절감기 사기"라고 치면 알 수가 있습니다.
이런 허위물품을 구매하고도 일반인들은 검증할 방법이 없기에 60일 이상 사용해보라는 판매업자의 말만 믿고 시간만 보내다가
대책없이 가만히 앉아서 당할 수 밖에 없다는것을 업자들은 잘 알기에 소비자들을 기만할 수 있었던 것이며
그러기에 이러한 유사 제품이 여기저기 시중에 많이 나돌고 있는것입니다.
정말 만에 하나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었다면 이 글을 올리지도 않았을겁니다.
본인이 제품을 구매하여 시험해본 결과 전기절감기라는 제품의 효용성은 일체 없었으며
오히려 전력의 증가만 가중시켰답니다.(실험 사진 첨부)
정말 그들의 말대로 10-30%까지 절감이 된다면 국가가 나서서 정부시책으로 국민들에게 의무화를 시켜 전기를 절감시키겠지요.
대 전력을 사용하는 공장 같은데서 역율개선을 할 시에 한전측에서 기본요금의 최대2.5%까지 전기요금에서 할인해주는 제도는 있으나 소전력을 사용하는 가정용이나 상업용은 전혀 해당이 없으며 전기요금 절감하고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지식경제부 기술원 확인)

가정이나 상가등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인것 처럼 효과가 있다는 둥 하면서 인터넷에다가 글이나 덧글을 쓰는 사람들은 같은 패거리거나 알바생을 동원하여 포털사이트에 한 페이지를 완전 장악하고 있으며 블로그등을 동원하여 위장된 글이나 덧글로 소비자들을 혼란에 빠뜨려 정말 효과가 있는것처럼 기만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송매체나 기타 광고매체를 매수 광고방송을 한 뒤 진실된 내용인것 처럼 홈페이지에 실어
과대광고를 넘어서서 사기 과대광고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첨부자료 참조)
그리고 제품원가에 비하여 엄청난 폭리를 취하고 있었으며 그들이 말하는것과 달리 환불처리도 실제는 안되고 있었습니다.
이런 근거도 없는 사기제품에 현혹되여 더 이상의 국민들이 피해를 안 입었으면 합니다. 





역률개선기 등 으로 전기요금을 절감한다는 것은 거짓입니다.  ◆ ☞ 소비자고발 
2012/03/28 10:00
   
 
 



역률을 빙자하여 역률개선기 하면서 전기절감기를  내 놓는 업체들이 인터넷이나
 
오프라인에서 난립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판매업자의 허위 과대과장 광고에 유혹되여 소비자가 더 이상 피해를 안 당했으면 
 
하는 마음에 이 글을 올립니다. 
 
그들의 말대로 전기료가 10-30%까지 절감이 된다면 정부는 바보라서 모르고 
 
가만히 앉아만 있는걸까요? 

역률하고 관계가 되는것은 대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공장에서 역률계를 별도로 설치하고 
 


 전기 사용효율에 따라 한국전력에서 요금을 깎아주는 것에만 해당되며
 
일반 상가(업소)나 가정에는 역률하고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 설령 역률을 개선했다 손 치더라도


계량기 지침이나 전기요금 절감 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며 
 
또한 역률개선 전기절감기라며 나돌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시에는 
 
필요없는 전기소모가 더 발생한다는 점을 소비자는 알아야 할 것이다. 
 
★ 검증자료 참고~ http://blog.naver.com/nantanews/110134360916
 


○전기세 절감을 하려면
     1. 전력이 감소해야하고.전력이 감소하려면 전류나 전압이 감소해야 합니다.
     2. P(전력)=E(전압) x I(전류)      공식에 의거하여 증명이 됩니다.
    
○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 전압을 트랜스(변압기)를 이용 강제로 다운시켜서
     전력을 감소시킨다고 광고하고 있지만 이 또한 사용제품에 무리를 주거나 기기의 효율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됩니다.

 역율개선을 해서 전기료를 절감한다는 방식은 기기와 또는 전원과의 병렬로 콘덴서 하나 추가시켜
     서 사용되는 것인데 이는 소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가정집이나 상가등은 전기료와 전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과대광고 사항)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제품은 이미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져있으며 실제 과대광고 선전처럼
    10-30% 까지 전기료를 절감시킨다고 한다면 정부시책으로 의무사항이 될것이며
     이는 바로 노벨상 까지도 수상이 되겠지요.
    아직까지 현대 과학에서 모든 기기의 에너지는  무에서 유를 창출할 수가 없습니다.
    기기가 원하는 에너지가 공급되여야지만 정상작동을 하게 되여있답니다.

★ 시중에 있는 모든 전기절감기들은  근거없는 과대광고와 더불어 과대폭리까지 취하고 있는 실정   입니다. 
    변압기나 콘덴서 등을 삽입하고 원가로치면 재료비 돈 만원이내에서 충분하지만
    십만원에서 수십만원까지 무려 수백%~1000%이상 까지의 수익을 챙기고 있습니다.

★피해신고~▶ 근거없는 과대광고=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접수하면 됩니다.
                 ▶ 환불조치미이행~소비자 보호원에 접수
                 ▶기술적 근거나 사실여부확인~지식경제부 기술원 또는 시험연구원에 의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