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August 11, 2012

Accuracy of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Last Dynasty of Korea)

Accuracy & Greatness of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Chosun is the Last Dynasty of Korea)


The King Tai Jong (the 3rd king of Chosun) went out hunting and fell from his horse. The astonished servants (officers, retainers, or subjects) ran the King tried to help him. the King forgetting sick and hurriedly exclaimed to his servants. "History Officers (史官) might see this ugly situation, so DO NOT let them see me."
(The King Tae Jong was famous as a warrior and a good horse rider)

조선시대 태종 임금이 사냥을 나갔다가 말에서 떨어졌다. 놀란 신하들이 우르르 달려가 왕을 부축하려 했다. 무안해진 태종은 아픈 것도 잊고 황급히 신하들에게 소리쳤다. “사관(史官)이 이 꼴을 볼지 모르니, 짐의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하라.”

He was afraid of ashamed of their appearance recorded by the history officers. However, officers wrote the king falling from a horse, as well as the fact, his desperate and helpless attempting to hide it. The number of officers did not break the will of writng the facts. That episode happened at fourth years of his regime. (1404, Annals of the King Tai Jong logs).
자신의 부끄러운 모습이 사관에 의해 기록으로 남겨지는 게 두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당시 사관은 왕의 낙마 사실은 물론, 이를 감추라고 지시했던 했던 것까지 소상히 사초(史草)에 기록해버렸다. 왕도 은폐시도는 할 수 있었지만, 사관의 붓까지 꺾을 수는 없었던 것이다. 태종 4년(1404년, 실록에는 태종 3년으로 기록)의 일이다.

This episode of the king at 600 years ago, we know what the power of 'history'. Thus the kings of the Choson Dynasty (the Last Dynasty of Korea), recognized, admitted and respected the history officers on the lookout for the records of history to them as role was.
600년 전 임금의 이런 에피소드를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기록’의 힘이다. 이처럼 조선시대 왕들은 사관들을 경계하면서도 역사의 기록자로서 그들의 역할을 인정하고 존중했다.

Hundreds of years ago now, this documentary is not how the loss would have had to be preserved. It replied on the Chosun Dynast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archive (Archive)'. Chosun Dynasty made "History Warehouse (史 库)", which can be translated as historical museum and archives been placed all over the country. This History Warehouse can be survived over several big wars.
그런데 수백 년 전의 이런 기록물이 어떻게 멸실되지 않고 지금까지 보존될 수 있었을까. 그건 조선시대 때부터 이미 ‘아카이브(Archive)’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역사자료관이나 기록보존소 쯤으로 번역할 수 있는 아카이브는 조선시대 당시 ‘사고(史庫)’라는 이름으로 전국 곳곳에 설치돼 있었다. 지금의 정부기록보존소에 해당하는 춘추관과 충주·성주·전주 등 3대 사고를 비롯, 묘향산·태백산·오대산·마니산·정족산·적상산 사고 등이 그것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